개발자285 면접질문 153일차(정규표현식) 0701정규표현식 정규 표현 식은 우리가 이메일이나 전화번호 아이디 등을 작성할 때 제약조건을 넣을 때 유용한 것입니다. 정규 표현 식이 없다면 많은 if 문을 써야 해서 코드가 복잡해질 것입니다. 하지만 좋은 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코드가 적어 지기는 하지만 가독성이 떨어지고 읽는데 조금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현재 많은 사람이 사용하는 단점보다 장점이 많은 기술입니다. 2022. 7. 1. 면접질문 152일차(JSTL) 0630JSTL 평소에 JSTL은 이름만 알고 그냥 썼지만 JSTL을 알게 되고 더욱 이해하기 쉬워졌습니다. JSTL은 자바 서버 표준 태그 라이브러리 여기서 중요한 단어는 태그입니다. 즉 html에서는 태그를 중요한 구분 점으로 사용됩니다. JSP도 html 배경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그래서 java 코드도 태그를 이용한다면 HTML의 흐름과 잘 맞게 되고 우리도 보는데 이상함 없이 자연스럽게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즉 상단에 prefix로 JSTL인지 그냥 태그인지 구분하게 만들고 맞으면 해당 URI로 가서 정보를 찾고 그에 따른 처리하게 됩니다. 만약 아무것도 모르고 처음 보는 사람이 배운다면 원래 html 태그인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자바 코드와 html을 좀 더 자연스럽고.. 2022. 6. 30. 면접질문151일차(스트림) 0628스트림 스트림이 자바 8에서 쓰는 것으로 평소에 자바에서 배열을 사용하면 for이나 foreach로 돌면서 활용했어야 됐는데 경향이 나오면서 map, filter 등과 람다 식을 활용하여 좀 더 간결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병렬 처리가 가능합니다. 한 개의 작업을 여러 개의 스레드를 이용하여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22. 6. 28. 면접질문150일차(DAO,DTO,VO) 0627DAO,DTO,VO DAO는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을 통한 데이터변환 등 여러 가지 처리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다양한 처리를 하는 것을 모아놓은 것이다. DOT는 DAO와 달리 특정한 데이터 처리가 아니라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고 return 해주는 것이다. 즉 테이블마다 나오는 데이터를 담기기 위해서 만드는 바구니 같은 거라고 생각할 수 있다. VO는 DOT와 비슷하지만, VO는 read only입니다. setter가 없어서 데이터를 조작 할 수 없고 getter만 있습니다. 2022. 6. 27. 이전 1 2 3 4 5 6 7 ··· 72 다음